얼마 전에 미니 PC를 구입했다.
개인용 서버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이야기하면 길지만, 사실 컴퓨터 공학과를 나오면서 개인용 서버를 구축하고,
여러 대의 PC를 자기 마음대로 설정하고 사용하는 동기들을 보면서 동경하는 마음이 있었다.
그래서 언젠가부터 개인용 서버와 NAS를 구성해보고 싶다는 마음과 함께 나의 버킷리스트에 등록이 되었다.
SSAFY의 코치를 하면서 새로운 도전을 해보고 싶었고, 인프라를 공부하면서, 그리고 지갑이 조금 채워지니
옛날에 생각했던 개인용 서버가 생각이 났다.
남은 코치 기간동안 천천히 하나씩 모든 기록을 블로그에 정리하면서 진행해보려고 한다.
이 개인용 서버를 구축하면서 자율 프로젝트 전국 1등을 달성한 프로젝트의 인프라 구성을
이 서버로 옮기는 것이 가시적인 최종 목표이며, 학습으로는 인프라와 네트워크에 대해 보다 깊이 이해하는 것이다.
다행히 여러 레퍼런스가 많이 있어 진행하는 것이 힘들긴 해도 진행은 될 것이라 생각된다.
오늘은 그 시작인 미니 PC 구매와 그 사양을 기록해보려한다.
먼저 나는 지금까지 미니PC를 구매해본 적도 없고, 어떤 것이 좋은지도 모른다.
다행히 코치 중에서 쿠버네티스 학습을 위해서 추가로 서버를 구매하고 이미 사용하고 있는 코치가 있어 도움을 받았다.
내가 구매한 모델은 아래와 같다.
인텔 NUC 11 Performance kit Panther Canyon NUC11PAHi5 (베어본)
물론 정가를 주고 구매한 것은 아니고 중고로 구매했다.
가격은 30만원 초반.
해당 제품의 스펙은 아래와 같다.
규격 | 117 x 112 x 51mm |
내부 드라이브 폼 팩터 | M.2 and 2.5 Drive |
프로세서 포함 | 인텔 코어 i5-1135G7 프로세서(8M Cache, up to 4.20GHz) |
지원되는 운영 체제 | Windows 10, 64-bit* |
주변기기 연결 | 전면(타입-A, 타입-C) 2개 후면 USB 3.1 Gen2(2x 타입-A, Type-C) 3개 내부 헤더를 통한 USB 2.0 1개, USB 3.1 Gen2 1개 |
TDP | 40 W |
지원되는 DC 입력 전압 | 19 VDC |
메모리 유형 | DDR4-3200 1.2V SO-DIMM (최대 64GB, 32GB x 2 slot) |
그래픽 출력 | HDMI 2.0a; USB-C (DP1.4); MiniDP 1.4 |
PCI Express 개정판 | 4 |
PCI Express 구성 | M.2 slot with PCIe X4 lanes |
M.2 카드 슬롯 (스토리지) | 22x80 |
통합 무선 | Intel Wi-Fi 6 AX201 |
내장 Bluetooth | Y |
인텔 HD 오디오 기술 | Y |
인텔 빠른 스토리지 기술 | Y |
인텔 가상화 기술(VT-x) | Y |
KC 인증번호 | R-R-CPU-NUC11PAH |
그리고 번개장터에 추가로 판매자가 작성한 스펙은
물론 제대로 보려면 내가 얼른 켜서 하나씩 뜯어봐야하는데,
아직은 지금은 귀찮다...
일단 위에 나열된 스펙 중에 내가 잘 모르는 것들부터 정리해보자.
- TDP: 40W
- Thermal Design Power의 약자이다.
- 전력 디자인 파워란 컴퓨터나 전자 기기가 발생시키는 열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이다.
- 특히 CPU, GPU와 같은 프로세서의 TDP는 해당 디바이스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열의 양을 나타낸다.
- TDP는 소비자에게 이 디바이스가 얼마나 발열하며, 따라서 얼마나 강력한 냉각 시스템이 필요한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 따라서 미니PC의 TDP가 40W라면, 이 미니PC가 작동 중에 약 40W의 열을 발생시킨다는 뜻이다.
- 지원되는 DC 입력 전압: 19 VDC
- VDC는 직류 전압(Direct Current)를 의미하며 19 볼트(Volt)가 필요하다.
- 메모리 유형: DDR4-3200 1.2V SO-DIMM (최대 64GB, 32GB x 2 slot)
- 메모리 유형 (Memory Type): DDR4-3200
- 메모리의 세대 및 속도를 나타낸다.
- 여기서는 DDR4라는 세대를 사용하고 있고, 속도는 3200MHz이다.
- DDR4은 현재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메모리 세대 중 하나이다.
- 전압 (Voltage): 1.2V
- 메모리 모듈이 동작하는 데 필요한 전압이다.
- 여기서는 1.2V의 전압을 사용한다.
- 폼 팩터 (Form Factor): SO-DIMM
- "Small Outline Dual In-Line Memory Module"의 약어이다.
- 더 작은 형태의 랩톱 및 미니PC와 같은 이동형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작은 형태의 메모리 모듈을 나타낸다.
- 메모리 유형 (Memory Type): DDR4-3200
- PCI Express: 개정판 4
- "PCI Express 개정판 4"는 컴퓨터의 PCI Express (PCIe)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 PCI Express (PCIe)
- PCIe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주로 그래픽 카드, 확장 카드, 저장 장치 등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고속 데이터 버스이다.
- PCIe는 여러 버전이 있으며, 각 버전은 더 높은 대역폭과 성능을 제공한다.
- 개정판 4 (Gen 4)
- 이는 PCI Express의 버전을 나타낸다.
- 여기서는 PCIe의 4번째 개정판을 사용하고 있다.
- 각 PCIe 개정판은 이전 버전에 비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PCIe Gen 4는 PCIe Gen 3에 비해 대역폭을 두 배로 늘려 최대 전송 속도를 향상시킵니다.
- 예를 들어, 그래픽 카드나 NVMe SSD와 같은 고성능 장치가 높은 대역폭을 필요로 할 때 유용하다.
- PCI Express (PCIe)
- "PCI Express 개정판 4"는 컴퓨터의 PCI Express (PCIe)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 PCI Express 구성: M.2 slot with PCIe X4 lanes
- "M.2 slot with PCIe X4 lanes"는 미니PC의 M.2 슬롯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 M.2 slot
- M.2는 작고 고성능의 내장 저장 장치 및 확장 카드를 지원하기 위한 형식인 M.2 슬롯을 나타낸다.
- M.2 슬롯은 주로 SSD (Solid State Drive)나 Wi-Fi 카드와 같은 다양한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 PCIe X4 lanes
- 여기서 PCIe는 PCI Express의 약어이며, X4 lanes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레인 (lanes)의 수를 나타낸다.
- 각 레인은 병렬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경로를 의미하며, 레인의 수가 많을수록 더 높은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 따라서, 이 M.2 슬롯은 PCIe X4 lanes를 지원하여 빠른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확장성 있는 슬롯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이 슬롯을 활용하면 고성능 SSD 또는 다른 PCIe 기반의 확장 카드를 추가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발생하는 몇가지 의문이 있고, 나는 결국 이것이 CS로 이어진다고 믿는다.
이것이 재미를 느끼는 공부!!!
...
1. 고속 데이터 버스란?
- 컴퓨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경로 또는 채널을 의미한다.
- 하드웨어 간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매커니즘이다.
- 높은 대역폭과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 고속 데이터 버스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를 제공하여 CPU, 메모리, 그래픽 카드, 네트워크 카드, 저장 장치 등 다양한 하드웨어 간에 빠르게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 대표적인 고속 데이터 버스 중 하나로 PCI Express 가 있다.
- PCIe는 병렬 데이터 전송 대신 직렬 데이터 전송을 사용하고 여러 레인(Lane)으로 나뉘어져 있어 대역폭이 크며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
- 한마디로, 고속 데이터 버스는 컴퓨터의 성능 향상과 다양한 하드웨어 간의 원활한 통신을 가능케 한다.
2. 데이터 전송을 위한 레인이란?
- 레인(Lane)은 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된다.
- 컴퓨터의 주요 통신 버스인 PCIe에서 이 용어를 자주 사용한다.
3. PCI Express
- PCIe는 직렬 데이터 전송을 사용하는 통신 규격이다.(다른 말로 인터페이스 이다.)
- 여러 개의 레인으로 구성된다.
- 각 레인은 별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나타내며, 병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대신에 각 레인에서는 하나의 비트씩 직렬로 전송된다.
- 이는 더 높은 대역폭과 성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 즉, 여러 레인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고 다양한 하드웨어 간의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케 한다.
4. M.2 슬롯
- M.2는 컴퓨터의 기기 및 확장 슬롯에 사용되는 표준 인터페이스 중 하나이다.
- M.2 슬롯은 주로 작고 고밀도의 기기들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 이 슬롯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주로 저장 장치, 네트워크 카드, 무선 통신 모듈 등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 M.2 슬롯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 주로 SATA와 PCI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 PCIe는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며, NVMe(NVM Express)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SSD와 같은 고성능 장치와의 호환성이 높다.
- M.2 슬롯은 주로 스토리지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지만, 네트워크 카드, 무선 통신 모듈, 그래픽 카드 등 다양한 기기를 지원할 수 있다.
- 높은 속도: PCIe 기반의 M.2 슬롯은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한다.
- 특히, NVMe SSD와 같은 스토리지 장치는 고속의 데이터 액세스를 가능케 한다.
나는 그냥 무지성으로 일단 미니 PC를 구매하고 나서 생각하기는 했지만,
보통 홈 서버를 구축할때 미니 PC를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그 이유가 우선 저전력, 저소음이기 때문이다.
사실 데스크탑으로 구성하는것도 상관 없지만, 오히려 더 좋을 수도 있지만,
항상 모니터를 연결해서 볼 것도 아니거니와, 상시 돌려야하기에 저전력, 저소음이 되는 미니 PC를 선택한다고 한다.
이제 다음에 진행할 작업들은
- 미니 PC 켜서 정상작동 여부 확인하기
- 미니 PC 스펙 확인하기
- 우분투 설치 USB 만들기
- 미니 PC에 우분투 운영체게 설치하기
- 남은 윈도우 노트북 스펙 확인하기
- 분해 후 하드는 외장하드로 만들기
- 램은 미니 PC에 넣기
그리고 1차 목표는 '어디서든 내 홈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 구성하기' 이다.
이를 위해서 네트워크와 OS에 대한 기본적인 학습이 필요할 것이다.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ER] 개인 서버 구축하기(2) - Ubuntu 설치 *스압주의(전 과정 사진 첨부) (6) | 2024.05.04 |
---|---|
M1 맥 사용법 : 이클립스 자동완성 및 단축키 (0) | 2023.06.15 |
스마트홈에 관한 고찰 (2) | 2022.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