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lgorithm 알고리즘/SWEA 스웨아2 SWEA_2115_벌꿀채취_모의역량 이 문제를 처음 보았을 때는 주어진 벌통의 크기인 배열에서 서로 겹치지 않게 가로로 연속된 M칸을 뽑아서 비교하는 것을 생각했었다.하지만 결국 우리는 꿀의 양과 값까지 고려해야한다.따라서 뽑기 전에 꿀의 값을 최대로 할 수 있는 것들을 남겨놓으려고 한다.예시를 들며 설명해보겠다.1. 꿀의 양에 대한 정보가 담긴 배열을 바탕으로 최대 수익 정보가 담긴 배열을 만들어준다.6197985834538267위와 같은 배열이 주어졌다고 가정해보자.N은 4이고 M은 2이고, C는 10이다.M이 2이기에 1행을 보았을때 [(0,0),(0,1)] | [(0,1),(0,2)] | [(0,2),(0,3)] 가 선택될 수 있다.[(0,0),(0,1)] 을 보면61위와 같은 값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최대 수익을 구하면 6*6.. 2023. 2. 23. [SWEA][D4] - Ladder1(1210번) https://swexpertacademy.com/main/code/problem/problemDetail.do?contestProbId=AV14ABYKADACFAYh SW Expert Academy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swexpertacademy.com이 문제는 처음에는 금방 풀 수 있을 줄 알았다.분명 내가 생각한 로직이 맞다고 생각했는데, 이상하게 해결이 되지 않았고, 어렵다고 생각했다.막상 해결하고 난 지금 다시 문제를 보니 굉장히 사소한 부분에서 걸렸었다.먼저 나는 이 문제를 지난시간 풀이했던, 백준의 안전영역 문제와 단지번호 붙이기와 같은 DFS 탐색 알고리즘으로 해결하려고 했다.그리고 내가 원하는 목적지로 갈 수 있는 출발지를 찾는 문제이.. 2023. 2. 9. 이전 1 다음 반응형